1970년 아시안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0년 아시안 게임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여러 문제로 인해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대회이다. 1966년 서울이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지만, 대한체육회와 정부 간의 갈등, 북한의 위협, 예산 문제 등으로 인해 개최권을 반납했다. 이후 일본이 개최를 거절하면서, 1968년 태국 방콕이 최종 개최 도시로 결정되었다. 농구, 레슬링, 육상 등 14개 종목이 진행되었으며, 일본이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70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1970년 동계 유니버시아드는 24개국이 참가한 국제 스포츠 대회로, 소련이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북한도 메달을 획득했다. - 1970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70년 하계 스페셜 올림픽
1970년 하계 스페셜 올림픽에 대한 정보는 제공된 개요가 비어 있어 요약할 수 없다. - 1970년 12월 - 10월 위기
1970년 퀘벡 해방 전선이 제임스 크로스 납치 및 피에르 라포르테를 살해하며 발생한 10월 위기는 피에르 트뤼도 총리가 전시 조치법을 발동, 군대를 배치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캐나다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킨 정치적 위기이다. - 1970년 12월 - 바르샤바의 무릎 꿇기
1970년 빌리 브란트 서독 총리가 바르샤바 게토 영웅 기념비 앞에서 무릎을 꿇은 행위는 나치 독일 만행에 대한 사죄이자 동서 화해의 상징으로, 독일-폴란드 관계 정상화에 기여하고 국제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70년 아시안 게임 | |
---|---|
대회 개요 | |
정식 명칭 | 제6회 아시아 경기 대회 |
슬로건 | 영원히 앞으로 |
개최 도시 | 태국, 방콕 |
참가 국가 | 18개국 |
참가 선수 | 2,400명 |
경기 종목 | 13개 종목, 135개 세부 종목 |
개막일 | 1970년 12월 9일 |
폐막일 | 1970년 12월 20일 |
개회 선언 | 푸미폰 아둔야뎃(태국 국왕) |
성화 점화자 | 프리다 출라몬돌 |
주 경기장 | 수파찰라사이 국립 경기장 |
이전 대회 | 방콕 1966 |
다음 대회 | 테헤란 1974 |
웹사이트 | ocasia.org (보관됨) |
2. 유치 신청 도시
1966년 아시안 게임이 진행 중이던 1966년 12월 15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시아 경기 연맹(AGF) 총회에서 대한민국 서울이 1970년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다. 실론(현재의 스리랑카)도 유치 신청을 했지만 철회했다.[5][6]
1966년 아시안 게임에 이어 방콕은 1970년 아시안 게임도 개최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한체육회, 대한올림픽위원회, 대한민국 정부, 서울특별시 간의 갈등으로 서울 개최가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박정희 정권은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무력 도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안보 강화와 경제 발전을 우선 과제로 삼고 있었다. 또한 경기 시설 확충과 대회 준비에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다는 점, 일부 사회주의 국가들이 정치적인 이유로 불참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7]
결국 대한올림픽위원회는 1968년 3월 22일 상임위원회를 통해 서울의 1970년 아시안 게임 개최권 반납을 결정했다.[8] 서울은 이후 1986년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게 된다.
3. 경기장
3. 1. 방콕
1966년 아시안 게임에 이어 방콕은 1970년 아시안 게임도 개최하게 되었다.
3. 1. 1. 국립 스포츠 단지
3. 1. 2. 태국 스포츠청 스포츠 단지 (후아막)
3. 1. 3. 기타 경기장
경기장 | 종목 |
---|---|
문화 회관 | 역도 |
암폰 가든 홀 | 레슬링 |
3. 2. 파타야
파타야 만 (요트)[1]4. 경기 종목
5. 참가국
총 18개국이 참가하였다. 라오스, 아프가니스탄은 선수를 파견하지 않고 임원만 파견했다.
참가국 |
---|
네팔 -- |
한국 -- |
말레이시아 -- |
버마 -- |
베트남 공화국 -- |
실론 -- |
싱가포르 -- |
이란 -- |
이스라엘 -- |
인도 -- |
인도네시아 -- |
일본 -- |
중화민국 -- |
크메르 공화국 -- |
태국 (개최국) -- |
파키스탄 -- |
필리핀 -- |
홍콩 -- |
다음 국가는 선수단이 참가하지 않았고, 임원만 파견하였다.
IOC 코드 | 국가 | 선수 |
---|---|---|
THA | 태국 | 472 |
JPN | 일본 | 427 |
PHI | 필리핀 | 302 |
IND | 인도 | 177 |
ROC | 중화민국 | 161 |
HKG | 홍콩 | 106 |
IRN | 이란 | 102 |
KOR | 한국 | 102 |
MAL | 말레이시아 | 100 |
INA | 인도네시아 | 95 |
PAK | 파키스탄 | 84 |
SIN | 싱가포르 | 75 |
CEY | 실론 | 73 |
ISR | 이스라엘 | 53 |
NEP | 네팔 | 30 |
VNM | 베트남 공화국 | 19 |
BIR | 버마 | 14 |
KHM | 크메르 공화국 | 8 |
6.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일본 | 74 | 47 | 23 | 144 |
2 | 대한민국 | 18 | 13 | 23 | 54 |
3 | 태국 | 9 | 17 | 13 | 39 |
4 | 이란 | 9 | 7 | 7 | 23 |
5 | 인도 | 6 | 9 | 10 | 25 |
6 | 이스라엘 | 6 | 6 | 5 | 17 |
7 | 말레이시아 | 5 | 1 | 7 | 13 |
8 | -- 미얀마 연방 | 3 | 2 | 7 | 12 |
9 | 인도네시아 | 2 | 5 | 13 | 20 |
10 | -- 실론 | 2 | 2 | 0 | 4 |
11 | 필리핀 | 1 | 9 | 12 | 22 |
12 | 대만 | 1 | 5 | 12 | 18 |
13 | 파키스탄 | 1 | 2 | 7 | 10 |
14 | 싱가포르 | 0 | 6 | 9 | 15 |
15 | -- 크메르 공화국 | 0 | 2 | 3 | 5 |
16 | -- 베트남 공화국 | 0 | 0 | 2 | 2 |
합계 | 137 | 133 | 153 | 423 |
1970년 아시안 게임의 메달 집계에서 일본이 금메달 74개, 은메달 47개, 동메달 23개로 총 144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8개, 은메달 13개, 동메달 23개로 총 54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2위를 기록했다. 개최국인 태국은 금메달 9개, 은메달 17개, 동메달 13개로 총 39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3위에 올랐다.
7. 대회 이모저모
참조
[1]
웹사이트
A-Games: 18 confirm
https://eresources.n[...]
1970-09-24
[2]
웹사이트
A-Games: 18 confirm [アジア競技大会:18カ国出場を確認]
http://eresources.nl[...]
ザ・ストレーツ・タイムズ
1970-09-24
[3]
웹사이트
Medals count [競技結果]
http://newspapers.nl[...]
ザ・ストレーツ・タイムズ
1970-12-21
[4]
웹사이트
Results [競技結果]
http://eresources.nl[...]
ザ・ストレーツ・タイムズ
1970-12-17
[5]
뉴스
6回(회) 서울 開催(개최) 거의 확정적
https://newslibrary.[...]
1966-12-10
[6]
뉴스
70年度(년도) 亞洲 大會(아주 대회) 서울 開催(개최)를 決定(결정) 競技聯 總會(경기련 총회)
https://newslibrary.[...]
1966-12-15
[7]
뉴스
險路(험로) …「70年(년)」에의 길
https://newslibrary.[...]
1966-12-21
[8]
뉴스
亜洲 競技(아주 경기) 포기
https://newslibrary.[...]
1968-03-23
[9]
뉴스
泰國 主催(태국 주최) 권고
https://newslibrary.[...]
1968-05-01
[10]
뉴스
아시아 競技 大會(경기 대회)의 反納(반납)
https://newslibrary.[...]
1968-05-02
[11]
뉴스
아시아競技大會(경기대회) 타이에 開催(개최)를 권고
https://newslibrary.[...]
1968-05-02
[12]
뉴스
泰國 主催(태국 주최) 경비 問題 諭難(문제 유난)
https://newslibrary.[...]
1968-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